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Firebase Studio 로 5분만에 Flutter 앱 만들기

Firebase Studio? 2025년 4월 10일, 구글에서 Firebase Studio라는 이름의 클라우드 기반 AI IDE를 출시했습니다. Firebase Studio는 Google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 개발 환경(IDE)으로, 풀 스택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간소화하고 AI 기능을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브라우저에서 바로 실행되며, 개발자들이 프로토타입 제작, 코딩, 테스트, 배포, 모니터링까지 모든 과정을 한 곳에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시험 삼아 Flutter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았는데요, 기본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구동하는 데 제가 한 일은 두 번의 클릭과 프로젝트 이름 입력뿐이었습니다. 놀라운 것은 프로젝트 생성 후 테스트 화면을 띄우는 데까지 겨우 5분밖에 걸리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클라우드에서 컨테이너 기반으로 개발 환경을 세팅하기 때문에 따로 환경 설정을 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인데요, 처음 개발에 입문하시는 분들은 이게 얼마나 편리한 기능인지 이해를 못 하실 수도 있지만 개발자분들이라면 공감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개발 환경 구성 방법은 개발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니 꼭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만들기 0. 시작하기 - 구글 계정이 필요합니다. - 웹 브라우저가 필요합니다. - https://studio.firebase.google.com/ 로 이동합니다. 1. Start coding an app 부분에서 Flutter 를 클릭합니다.    2. 생성할 프로젝트(Workspace)의 이름을 입력 하고 Create 버튼을 클릭합니다.  3. 프로젝트 생성이 시작됩니다. 4.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우측에 Gemini 를 사용 할 수 있는 대화창과 Web, Android 탭이 보입니다. Android 탭을 보면 Android 에뮬레이터로 동작하는 App 의 모습이 표시되고 Web 탭에는 Flutter Web 으로 빌드된 결과가 표시됩니다. 빌드가 ...

미스터 션샤인 명장면 "오늘 나의 사인은 '화사'요"

희성 : 봄이 왔나 보오. 오늘은 내가 좋아하는 것들이 여기 다 있구려. 동매 : 저는 빼주십시오. 희성 : 난 이리 무용한 것들을 좋아하오. 봄, 꽃, 달. 벚꽃잎을 정확히 반으로 가를 수 있소? 동매 : 나으리를 반으로 가를 수는 있겠지요. 가로로 할까요? 세로로 할까요? 희성 : 어찌 그리 잔인한... 혹, 벚꽃잎을 정확히 명중시킬 수 있소? 유진 : 구동매가 반으로 가르기 전이요? 후요? 희성 : 참으로 멋진 은유요. 일본인과 미국인 사이에서 난 날마다 죽소. 오늘의 나의 사인(死因)은 '화사'요. <미스터 션샤인 15화> --- 희성은 조선, 동매는 일본, 유진은 미국. 미국과 일본 사이에서 매일 죽어야 했던 조선. 결국 외세에 의해 남과 북, 반으로 나뉘게 될 조선의 운명을 암시하는 장면. 그 슬픔과 아픔이  '화사' 라는 단어로 함축된다...

Supabase Edge Function + AI 로 1분만에 API 만들기

  Supabase Edge Function Supabase Edge Function이란? Supabase Edge Function 은 Supabase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 함수 입니다. 이것은 TypeScript로 작성되며, Deno 런타임 에서 실행됩니다. 전 세계에 분산된 "엣지" 환경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있는 곳에 가까운 데이터 센터에서 실행되어 낮은 지연 시간 과 빠른 응답 속도 를 자랑합니다. AI assistant 를 이용해 API 만들기 Edge Function 의 AI Assistant 를 이용해 빠르게 API 를 생성 & 배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Supaba Assistant 화면 열기 2. 프롬프트 입력 숫자 2개와 연산기호를 받아 계산하는 계산기 api 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3. 배포 코드가 생성된 후 우측 상단의 Deploy 버튼을 누르면 배포가 됩니다. 배포가 되면 하단에 API 주소가 생성됩니다. 4. 테스트 Supabase Edge Function 은 기본적으로 JWT 인증을 받아야 사용 할 수 있는데요 테스트를 위해서 인증기능을 끄겠습니다. API 목록에서 API 선택 후 Details - Enforce JWT Verification 항목을 해제 - Save chages 클릭 이제 포스트맨으로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3번에서 생성된 API 주소를 입력하고 body 에 파라메터를 넣어 Send 를 누릅니다. 3 * 5 = 15 정상 결과가 리턴됩니다.

2025년 지커 한국 진출: 주요 모델 알아보기

  지커(Geely)의 한국 상륙: 전기차 시장 흔들릴까? 최근 중국의 고급 전기차 브랜드 지커(Geely) 가 한국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지난 3월 28일, 지커는 "지커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라는 이름으로 한국 법인을 설립했습니다(대법원 인터넷 등기소 3/23 공시). 작년 7월 한국 지사를 세운 데 이어 이번엔 법인 설립으로 한 발 더 내디딘 거죠. 지커는 어떤 브랜드? 지커는 중국 자동차 대기업 지리(Geely) 산하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입니다. 첨단 기술과 고급스러운 디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특히 자율주행과 AI 기술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AI가 실시간으로 상황을 판단하는 자율 주행 기술, 여기에 레벨 3 자율주행 과 엔비디아 토르 칩 라이다 5개 탑재 등 다양한 기술로 무장한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대형 전기 SUV 당신의 선택은? - 기아 EV9 GT VS 현대 아이오닉 9

  아이오닉9 (좌) vs Ev9 GT(우) 기아 EV9 GT vs 현대 아이오닉 9: 어떤 전기 SUV가 더 나을까? 전기차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아와 현대가 각각 선보인 플래그십 전기 SUV, 기아 EV9 GT 와 현대 아이오닉 9 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두 차량은 3열 6인승 구조의 대형 전기 SUV로, 넓은 공간과 첨단 기술을 제공하지만, 가격, 성능, 실용성에서 차별화된 매력을 보여줍니다. 1. 차량 제원 비교 구분 EV9 GT 아이오닉 9 2WD (19인치) 아이오닉 9 2WD (21인치) 아이오닉 9 AWD HTRACⅠ (19인치) 아이오닉 9 AWD HTRACⅠ (21인치) 아이오닉 9 AWD HTRACⅡ (19인치) 아이오닉 9 AWD HTRACⅡ (21인치) 연료 전기 전기 전기 전기 전기 전기 전기 복합연비 (㎞/㎾h) 3.6 4.3 4.2 4.1 4.1 4.1 4.1 1회 충전 주행거리 (복합, ㎞) 408 532 511 503 503 501 501 공차중량 (㎏) 2,655 7인승: 2,505 6인승: 2,510 7인승: 2,560 6인승: 2,555 7인승: 2,605 6인승: 2,610 7인승: 2,660 6인승: 2,655 7인승: 2,625 6인승: 2,630 7인승: 2,680 6인승: 2,...

MCP(Model Context Protocol) : LLM과 애플리케이션의 스마트한 연결고리

MCP(Model Context Protocol) : LLM과 애플리케이션의 스마트한 연결고리 최근 AI 시장에 뜨거운 감자가 등장했다. 바로 MCP(Model Context Protocol). 처음엔 또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정도로 가볍게 넘겼는데, 조금 알아보니 LLM(Large Language Model)을 단순한 텍스트 생성기에서 실세계와 연결된 실행 엔진으로 탈바꿈시키는 흥미로운 기술이었다. 1. MCP란 무엇인가? MCP는 LLM이 외부 도구나 데이터 소스와 표준화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 프로토콜이다. Anthropic에서 시작된 이 기술은 이제 오픈 소스로 커뮤니티에서 발전 중인데, 쉽게 말해 LLM과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한다. REST API나 gRPC처럼 개별 통합을 직접 짜는 대신, MCP는 JSON-RPC 기반으로 실시간 통신을 표준화해서 개발 복잡성을 줄여준다. 예를 들어, LLM이 파일을 읽거나 API를 호출할 때 세부 구현을 몰라도 MCP를 통해 간단히 요청하고 결과를 받을 수 있다. 실무에서 통합 작업에 골머리 앓던 나로선 꽤 매력적인 아이디어로 다가왔다. 2. MCP의 주요 특징과 구조 MCP의 주요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표준화 : LLM과 도구 간 통신을 일관된 프로토콜로 통일한다. JSON-RPC를 기반으로 STDIO(로컬)나 SSE(원격)를 활용해 유연성이 높다. 실시간성 : 정적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외부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양방향성 : 단순히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그치지 않고, LLM이 외부 시스템에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예: 파일 쓰기, 메시지 전송). 구조적으로는 세 컴포넌트로 나뉜다: 호스트(Host) : LLM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프론트엔드. 요청을 MCP로 전달한다. 클라이언트(Client) : 호스트와 서버 간 연결을 관리하며 중계 역할. 서버(Server) :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

유튜브 프리미엄 추천하는 구독 방법(우회X)

유튜브의 구독형 상품인 유튜브 프리미엄.  한 번 써보면 너무 편리해서 벗어날 수가 없는 마약같은 상품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월 14,900원의 결코 저렴하지 않은 가격이죠.  한국에선 가족 공유도 안되는데 좀 비싸죠.. 그래서 많은 분들이 어떻게 하면 저렴하게 구독 할 수 있을까 고민을 하시는데요 저도 그런 고민을 하면서 어떻게 하면 싸게 구독 할 수 있을지 여러 방법을 찾아봤지만 구독 요금 자체를 낮추는 건 통신사 요금제를 이용하거나 1,000원이 한계였습니다. 그래서 찾은 다른 방법은 구독 요금이 아닌 다른 것으로 혜택을 받아 구독 요금을 간접적으로 할인 받는 방법이었습니다. 제가 이용중인 상품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SK 에서 만든 '우주패스' 라는 서비스를 이용해 구독합니다. 그 중에서 "편의점 + 카페 할인 상품"에  "유튜브 프리미엄"을 추가 해서   월 13,900원 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겨우 1,000원 할인 아닌가 싶지만  이 상품의 핵심은 "편의점 + 카페 할인"에 있습니다. 여기서 편의점은 "세븐일레븐"이고 카페는 "투썸플레이스"입니다. 본래 9,900원 짜리 상품에  추가 상품으로 유튜브 프리미엄을 골라주면  +4000원이 되어 13,900원이 됩니다. 그럼 얼마나 할인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세븐일레븐 1,000원당 300원 할인  세븐일레븐에서 하루 한 번 1000원당 300원 할인이 됩니다. (일 한도 9,000원, 월 한  30,000원) 즉, 5,000원 어치를 사면 1500원을 할인 받을 수 있는겁니다. 2. 투썸플레이스 30% 할인 투썸플레이스에서 구매를 하한 금액에 30% 를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도 하루 한 번만 됩니다. (일 한도 9,000원, 월 한도 30,000원) 스타벅스 가시는 분들, 투썸 가세요!  저는 이걸 이용해서 25년 3월 한 달 동안 37,140원 할인을 받았습니다 유튜브 프리미엄 ...

크롬 원격 데스크톱 우측 시프트 안되는 현상 해결!

 윈도우에서 맥으로 크롬원격데스크톱 접속을 하는데 우측 시프트키가 안먹히는 현상이 발생했다. 해결 방법 윈도우 11기준 1. 제어판 - 언어 및 키보드 옵션 편집 한국어 항목 우측 점 세개 클릭 - 언어 옵션 - 키보드 2. Microsoft 입력기 우측 점 세개 - 키보드 옵션 - 호환성 3.  이전 버전의 Microsoft IME - 켬 재부팅 필요 없이 바로 적용 됩니다.

엔트로픽이 Claude 에서 사용하는 프롬프트 예시

  엔트로픽이 자사 검색에 사용한다는 프롬프트의 일부를 공개했습니다. 엔트로픽이 Claude 의 검색에 사용한다는 프롬프트 일부를 공개했습니다. AI 기업에서 어떤식으로 프롬프트를 사용하는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번역본입니다. (번역: Grok 3)

Supabase vs Firebase: 백엔드 개발자를 위한 비교 가이드

   Supabase: 오픈 소스 백엔드 플랫폼의 강력한 대안 오늘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는 Supabase(수파베이스) 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Supabase는 오픈 소스 기반의 Firebase 대안으로, 백엔드 개발을 간소화하고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려는 개발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Supabase의 주요 기능, 장점, 그리고 Firebase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Supabase란? Supabase는 백엔드 서비스 플랫폼으로, 개발자가 직접 서버를 구축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합니다. 서버 관리, 업데이트, 보안 문제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되니, 특히 1인 개발자나 스타트업에게는 큰 장점입니다. 빠르게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플랫폼은 Firebase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독특한 접근 방식으로 차별화됩니다. Supabase와 Firebase 비교 Supabase와 Firebase는 겹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두 플랫폼 모두 인증(Authentication), 데이터베이스, 파일 저장소(Storage), 실시간 기능(Realtime), 서버리스 함수(Serverless Functions)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구현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Firebase : Google의 강력한 생태계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NoSQL 데이터베이스(Firestore)를 사용합니다. 사용이 간편하지만,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Supabase : 오픈 소스이며, PostgreSQL이라는 강력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핵심으로 사용합니다. 이 점이 Supabase의 가장 큰 차별점 중 하나입니다. Supabase의 주요 장점 1. PostgreSQL: 관계형 데이터의 강자 Supabase는 PostgreSQL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PostgreSQL은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로, SQL을...